작성자 : 구절암   |   열람수 : 371   |   작성일 : 18-07-13 18:03

원시 불교 경전이란 무엇인가?
불교가 존중 불전의 수는 방대하지만, 그 중에서도 비교적 성립이 오래 부처님의 가르침에 가깝다고 생각할 수있는 것이 원시 불교 경전이다. 그러나 붓다의 입멸 후 몇 차례의 결집 (편찬 회의)을 겪고 있다는 것을 다양한 부가 나 삭제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면, 초기 불전조차 부처의 가르침 자체를 직접 전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현재 형식적으로 구비하고있는 원시 불전으로는 팔리어 ( "경전의 언어"를 의미하고 언어 학적으로는 인도 중부 이서의 언어로 간주됩니다)로 작성된 남방 소승의 것이있다. 붓다 자신은 고향 인 북부 인도 동부 마가 지방의 말로 설교를했다고 간주하고 선교와 집회 등을 거쳐 팔리어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팔리어 불전은 거친 문장의 장단에 따라 다음의 다섯 가지 그룹으로 분류되고있다 (괄호 안은 邦訳 이름 해당 한역 경전 순).

1. "디 · 니카야"( "長部", "長阿含経")
2. "맛지마 · 니카야"( 「중부」, 「중 아함경」)
3. "산윳타 · 니카야"( 「상응 부」, 「雑阿含経")
4. "안굿타라 · 니카야"( "증가 지부", "増壱阿含経")
5. "쿳다카 · 니카야"( "작은 부분"한역 없음)

이들은 쇼와 초기에 "남 전 대장경"로 번역 된 이후에도 속속 새로운 일본어 번역 출판되고있다. 비교적 유명한 「숫타니 파타」 「단마빠다 ""자타카 "등은 모두 5에 포함되어있다.

대승 불교의 활발한 동아시아에 위치한 고래 "대승 상응하는 국토」를 자부해온 일본에서는 원시 불전이 경시되어 왔지만, 근대 이후 초기 불전의 내용이 알려지게되고, 점차 사람들의 마음을 매료하게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원시 불전이 개조 붓다의 가르침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된다 때문일 것이다. 근대 서양의 불교 연구는 부처님의 역사적 존재를 확정 한 후 그 성격을 재현 · 평가하는 데 주력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에도 파급되었다. 근대 이전의 일본에서는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전래되어 오는 불전의 모든 부처님 자신의 가르침으로 받아 왔으나, 근대 이후의 일본의 역사적인 부처님 동상의 추구는 개조 그 사람의 실상 에 육박 수 있다는 기대를 많은 사람들에게 안겨 오늘날에도 큰 영향력을 가지고있다.

한편, 역사적 붓다 상이라는 개념을 통해 '프랑스'의 의의 등 불교의 종교적 핵심이 잘린 온 것을 반성하는 새로운 움직임도 나오고있다. 불전을 읽는 행위는 독자 인 우리가 불전에 포함 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자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 불전과의 대화를 통해 우리 자신을 바꾸어가는 시도에 다름 아니다 . 역사라는 말을 더 넓은 의미에서 다시 살펴. 이렇게하면 한 번 현실의 불교 세계에서 행해져 온 것처럼, 독자가 불전과 마주 때때로 부처도 변화하고 발전하는 것으로 이해 다시 ​​할 재차 모색되고있는 것이다.